본문 바로가기

기타

stateful 상태유지 / stateless 무상태 + Rest API

jwt에 대하여 다시 공부하다가 내 눈에 띈 stateless라는 단어..심지어 한글로는 무상태.....

??????????무상태??????????? 전혀 감이 안 잡혀서 검색해서 공부하고 겸사겸사 기록 렛츠 고~~

 

stateful 상태유지 stateless 무상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통신을 유지하냐 / 마냐의 차이로 나뉨
서버가 클라이언트와 상태를 유지함
(서버가 정보 저장하고 있음)
클라이언트가 서버랑 통신하는 경우에만 데이터 전송
(서버에 정보 저장 X)
서버 못 쓰게되어 다른 서버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문제 발생
(A서버에 정보 저장하고 있어서 B서버는 정보를 모름)
요청할 때마다 정보를 줘야해서 더 많은 데이터가 소모되고,
과정이 많아지면 내용도 많아짐
브라우저 쿠키 / 서버 세션 JWT (Json Web Token)
TCP (3Way HandShaking) UDP / HTTP( HTTP는 기본이 무상태)

 

- HTTP : stateless 상태 프로토콜

- REST : stateless 상태 설계구조

https://www.youtube.com/watch?v=iOueE9AXDQQ 

 

 

stateful과 stateless 관련 영상을 찾고싶은데 다 외국인의 영상이라...심지어 자막도 영어....라서....

다른 분들의 글을 보고 공부하게 되었다!! 예시도 나와 있어서 완전 이해가 잘된당!!!

 

가장 도움된 글 : https://inpa.tistory.com/entry/WEB-%F0%9F%93%9A-Stateful-Stateless-%EC%A0%95%EB%A6%AC

 

🌐 아주 쉽게 이해하는 Stateful / Stateless 차이

Stateful 과 Stateless 차이점 웹 공부를 하다보면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간의 통신을 상태유지(Stateful) 하느냐, 상태유지하지않음(Stateless) 으로 하느냐 라는 말귀를 한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

inp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