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널 프로젝트가 끝난 후 같은 팀원 구키와 기능을 추가하기로 함
그래서 기존 네명이서 사용하던 레파지토리 말고 둘이 사용할 레파지토리 만들기로 함
1. 새로운 레파지토리 만들기
2. 로컬에 저장된 기존의 폴더 복사해서 새롭게 깃 연결해줄 폴더 만들어주기
3. 해당 폴더에 git clone해서 새로운 레파지토리 연결해주기
이렇게 하면 둘이 사용할 수 있을거라 생각함..^_^
하지만 깃 녀석은 아주 호락호락하지 않은 녀석이였다,,☆★
난 분명히 로컬에 있는 내용을 레파지토리에 올리기 위해서 commit 하나 했는데,,,,,
그 전에 커밋했던 내용들이 다 딸려온다...!!!!...오엠쥐
그래서 깃 전문가 예린에게 자문을 구해서 해결완료
사실 담번에 이런 상황이 오면 또 헷갈려하며 어찌저찌 할 거 같긴헌디 어렵당...흑흑
난 그냥 git clone 하면 알아서 연결되는거라 생각했었다...
뭔가 그 전에 clone 시도를 많이 해서 그런지 에러 발생해서 기존의 git을 지워주었음 ($ rm -rf .git)
초기화 ($ git init) 해주고 다시 git 연결해주기 ($ git remote add origin 새로운 레파지토리주소)
아니 솔직히 아직도 master랑 main의 차이를 모르겠음..근데 지금 레파지토리에 브랜치가 main, yj, gh 이렇게 세개라서 master에서 main으로 checkout 하는데 또 오류 발생;;
업데이트 ($ git remote update) 하니까 메인으로 checkout 가능 ($ git checkout main)
헉헉 거의 다 왔다..!!
로컬에 있는 모든 파일 올려주고 ($ git add .) 커밋하기 ($ git commit -m "커밋멘트")
main에다가 push해서 올려주면 끝~~~ ($ git push origin main)
정상적으로 커밋 성공!!!
그녀는 천재다....갓..그저 빛.......본인 블로그 글 쓰는거 빼고 다 잘한다...,,,
글고 예린 개발자 답게 !== 사용했다...멋지다...멋쟁이 개발자같어........나도 기억하고 있다가 다른데서 써먹어야지..후후
참고 블로그
https://shanepark.tistory.com/284
원격저장소 추가 - git remote add
개요 add remote는 로컬 git 저장소에 원격 저장소를 추가 하는 명령입니다. 보통, git init 이후에 Github 이나 Gitlab의 원격 저장소를 추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인데요, 이미 특정 원격 저장소와
shanepark.tistory.com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ubuntu] 스프링부트 SpringBoot + 리액트 React 배포하기 (0) | 2023.09.02 |
---|---|
[뤼튼] 챗gpt보다 자주 사용하는 뤼튼 (0) | 2023.08.27 |
[IT국비학원] 드디어 대략 6개월간의 국비 과정이 끝난 자의 새벽감성일기 (0) | 2023.08.11 |
[AWS][ubuntu][Java] jar파일로 서비스 재실행되게 시스템 서비스 데몬 형태 만들기 (1) | 2023.08.09 |
[AWS][SpringBoot] AWS 서버에 SpringBoot 배포하기까지의 그 험난한 여정... (0) | 202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