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36)
[정보처리기사]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1. FIFO (First In First Out) - 가장 먼저 메모리에 적재된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는 기법 - 프레임 개수를 늘리면 부재 발생이 감소해야 하나, 오히려 부재 발생이 증가하는 Belady's Anomaly 이상 현상 발생 https://www.youtube.com/watch?v=qEgXhnujBA8&pp=ygUw7KCV7LKY6riwIOyLpOq4sCAg7Y6Y7J207KeAIOq1kOyytCDslYzqs6Drpqzsppgg -> 먼저 사용된 페이지 프레임에 줄(취소선) 그어서 확인 2. LRU (Least Recently Used) - 최근에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 https://www.youtube.com/watch?v=9CCAK-N8Nwg&pp=ygUw7KCV7..
[AWS][ubuntu] 스프링부트 SpringBoot + 리액트 React 배포하기 AWS서버에 프로젝트 배포하는 방법 기록하기! 백은 스프링부트, 프론트는 리액트를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당 1. 백은 스프링부트에서 jar 파일 업로드하기 (FileZilla 사용) 2. 프론트는 yarn build해서 build 폴더 업로드하기 (FileZilla 사용) (난 서버에 처음에 git으로 pull해왔어서, jar파일과 build폴더는 원래 로컬에 있던 경로와 동일하게 설정해주었다!!) 3. nginx 설정하기!!! /etc/nginx/sites-available 경로의 default 파일에 사용할 포트랑 build 폴더 경로 적어주기!!! server { listen 8090 default_server; listen [::]:8090 default_server; root /home/u..
[뤼튼] 챗gpt보다 자주 사용하는 뤼튼 챗gpt보다 더 자주 사용하게 되는 뤼튼 뤼튼에서는 챗gpt보다 조금 더 코드를 잘 짜주는 느낌이라 프로젝트 때 날 살려주었다 진짜로.. 얘 없었으면 큰일날뻔....... 뤼튼의 장점이 GPT-3.5 / GPT-4 / GPT-3.5-16K / PaLM2 이렇게 종류가 4가지라서 본인한테 맞는 것을 골라서 사용할 수 있음 마우스 hover하면 설명이 나온다 GPT-3.5 빨라요 (Open AI) GPT-4 똑똑해요 (Open AI) GPT-3.5-16K (베타) 최신 정보에 강해요 PaLM2 빠르고 가독성이 높아요 (Google) 나는 주로 GPT-4 사용하는 편~! https://wrtn.ai/?user-survey-step=0&type=main wrtn 모두를 위한 AI 포털 뤼튼. AI 채팅부터 이미..
[GitHub] 알다가도 모를 git의 세계... (git clone, git remote add) 파이널 프로젝트가 끝난 후 같은 팀원 구키와 기능을 추가하기로 함 그래서 기존 네명이서 사용하던 레파지토리 말고 둘이 사용할 레파지토리 만들기로 함 1. 새로운 레파지토리 만들기 2. 로컬에 저장된 기존의 폴더 복사해서 새롭게 깃 연결해줄 폴더 만들어주기 3. 해당 폴더에 git clone해서 새로운 레파지토리 연결해주기 이렇게 하면 둘이 사용할 수 있을거라 생각함..^_^ 하지만 깃 녀석은 아주 호락호락하지 않은 녀석이였다,,☆★ 난 분명히 로컬에 있는 내용을 레파지토리에 올리기 위해서 commit 하나 했는데,,,,, 그 전에 커밋했던 내용들이 다 딸려온다...!!!!...오엠쥐 그래서 깃 전문가 예린에게 자문을 구해서 해결완료 사실 담번에 이런 상황이 오면 또 헷갈려하며 어찌저찌 할 거 같긴헌디 어..
[IT국비학원] 드디어 대략 6개월간의 국비 과정이 끝난 자의 새벽감성일기 후후후 축배를 들자~~ 드디어 끝~~~~~~ 2월 말부터 시작해서 어제까지의 교육이 끝났다~~~오예 사실 팔월 초까지가 끝인데 처음에 두 번?정도 개강일이 늦춰져서 예상보다는 더 늦게 끝났다. 처음에 프론트엔드 교육인 줄 알고 신청했는데, 갑자기 오티때 풀스택으로 교육과정이 변경되었다고 학원에서 통보를 해서 기분은 나빴지만 오히려 좋아~ 하고 풀스택 교육을 듣게 되었다. 개강하고 첫 날 자기소개를 하는데 내가 나이가 제일 많아서 1차 놀람, 전공자 많아서 2차 놀람.... 하지만 나 딩딩쓰 주변에 어린 친구들 꽤 많은 편이라서 딱히 어려울 건 없었쥐~ 다만 그들이 나를 어려워 했을 뿐..ㅎ_ㅎ 수업 들으면서 '오 나 제법 이해했는데?' 생각했는데 막상 실습문제에 적용을 못하고,, 다른 친구들은 문제를 술..
[AWS][ubuntu][Java] jar파일로 서비스 재실행되게 시스템 서비스 데몬 형태 만들기 제목이 너무나도 어렵다....쓰면서도 저게 뭔 말이야? 싶은;;; 그니까 나는 AWS 우분투에 jar파일 올려놓고 java -jar xxx.jar 명령어로 jar파일을 실행시키고 있었음 하지만 내가 컴퓨터를 켜놓고 아무것도 안하거나, 네트워크가 끊기면 갑자기 서버가 inactive되는 상황이 벌어져서(왜 그러지) 자동으로 재실행 가능하게 만듦!!! GPT-4 의 말에 의하면 시스템 서비스 데몬 형태로 만들면, 장애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서비스를 재실행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드린대로 systemd를 사용하여 서비스 구성을 하는 경우, 서비스 파일에 Restart=always 옵션을 설정하면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에 자동 재실행이 됩니다. 그렇다고 한다..!! 1. /..
[AWS][SpringBoot] AWS 서버에 SpringBoot 배포하기까지의 그 험난한 여정... 진짜 오류가 미친듯이 많았지만 해결에 급급해 캡처가 별로 없다...흑흑... 티낳괴(티스토리가 낳은 괴물)은 웁니다용...ㅜ_ㅜ....흑흑 막혔던 부분과 헷갈렸던 부분을 기록해겠음 (생각나는 부분만 기록..) 1. aws (ec2 linux2) 설치해서 putty로 서버에 접속하려니까 오류 발생 => aws로 설치한 서버는 root로 접속이 불가능하다!! linux는 ec2-user / ubuntu는 ubuntu로 접속해야함!! 2. 서버에 mariaDB만설치해서 접속 확인할 땐 분명히 잘 되었는데, 서버에 springBoot 올려서 실행시키니까 외부에서 DB 접속이 안됨 (인스턴스 보안 인바운드 규칙에도 3306 포트를 열어준 상황) => 디비에 접속할 계정에 권한을 따로 설정해 주어야 했다..! gr..
[GitHub] 용량 큰 파일 업로드 할 때 lfs 사용하기 학원에서 깃허브에 업로드 하려는데 에러메세지 발생;; 뭔가 파일 크기 문제 같아서 찾아봐서 해결 함 1. git lfs install (lfs는 대용량 파일 업로드 할 때 사용한다고 한다) 2. git lfs track * (원래 파일명 써도 되는데 해당 폴더 전체 선택하려면 * ) 3. git commit -am "04.mongodb commit2" " " 안에 메세지 적어주고 커밋 (메세지는 안 적어도 ㄱㅊ) 4. 포크에서 해당 폴더가 커밋되어 있는지 확인 5. push 하고 깃허브에서 확인 정상적으로 업로드 완료~! 참고한 사이트 : https://velog.io/@luvlik207/github%EC%97%90-%EB%8C%80%EC%9A%A9%EB%9F%89-%ED%8C%8C%EC%9D%BC-%E..